해외놀이터 고고




아라비카 커피(Arabica Coffee)의 원산지로 '커피의 고향'으로 알려져 있으며, 아프리카 최대의 커피 생산국이다. 적도의 고지대에 있어 천혜의 커피 재배 환경을 갖고 있지만, 열악한 자본과 낙후된 시설 때문에 전통적인 유기농법과 그늘경작법(Shading), 건식법(Dry Method)으로 커피를 재배한다. 1972년 이후에는 습식법(Wet Method)이 도입되어 대형공장들이 생겨났으며, 수출용 고급커피를 비교적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게 되었다. 커피의 수확시기는 대략 10월~3월이며, 2017년 생산량은 약 46만톤으로 세계 6위이다(국제커피협회 ICO; International Coffee Organization, crop year 기준).


영하의 날씨가 계속되면 물방울이 폭포 위로 강을 가로질러 아치를 만드는데, 간혹 강 위로 로프를 매어놓으면 더 빨리 얼어붙는다. 300m 거리에 흐라운폭포(Hraunfossar)가 있고, 강의 2개 다리 사이에 트힌게이섬(Thingey I.)이 있다. 후사페를(Húsafell) 마을과 용암 터널 형태의 동굴 비드겔미르(Víðgelmir)가 가까이에 있다. 1987년 두 폭포 일대가 자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이러한 마을의 유래를 되살리고 주민들의 화합과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기 위해 거룡승천제를 지내게 되었다. 용산동 주민센터 동쪽 청룡과 황룡의 형상을 조각한 용산유래비 앞에서 열리며, 범바위 약수터에서 용천수(龍泉水)를 취수하여 청룡과 황룡의 형상을 앞세워 마을을 한 바퀴 돌아 다시 유래비 앞으로 와서 승천한 용에 대한 제사를 지낸다. 부대 행사로는 주민자치센터의 문화교실에서 진행하는 프로그램의 시연, 윷놀이, 제기차기, 노래자랑 등이 펼쳐져 주민들이 한 마음으로 화합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육계나무는 중국의 남부지방에서 자생하는 늘푸른큰키나무로 여름부터 가을 사이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 사용한다. 계지를 계수나무(Cercidiphyllum japonicum Sieb. et Zucc.)의 줄기라고 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며 이 나무는 약용하지 않는다.


주변에 발포·남열·덕흥·나로도 해수욕장 등이 있다. 찾아가려면 고흥읍에서 남성리행 버스를 타거나, 고흥읍에서 15번 국도를 타고 봉래면·동일면 쪽으로 내려가다가 포두면을 지나 나로도 방면으로 20여km 내려간 뒤 오른쪽 이정표를 따라가면 해수욕장이 나온다.


등지느러미는 배지느러미보다 조금 뒤에서 시작하고 바깥 가장자리는 둥글다. 꼬리지느러미는 깊이 갈라지고 위아래 조각의 크기나 모양이 거의 같으며 끝이 둥글다. 뒷지느러미는 등지느러미의 가운데쯤에서 시작하고 등지느러미와 비슷하지만 작다. 가슴지느러미는 머리의 바로 뒤쪽 배 밑바닥에 달렸으며 길고 좁다. 배지느러미는 작고 끝이 둥글며 등지느러미보다 조금 앞에서 시작한다.


20세기 초반에 이미 레시피가 완성되어 있었던 역사가 긴 칵테일이다. 1943년에 제작된 미국 영화 '카사블랑카' 중에서 험프리 보가트가 '당신 눈동자에 건배!'라는 대사와 함께 등장하여 전세계적으로 유명해졌다. 각설탕으로부터 올라오는 섬세한 기포가 로맨틱한 분위기를 연출해 준다. 데이트에 추천할 만한 칵테일이다. 샴페인 글라스에 넣은 각설탕 1개에 앙고스투라 비터스 1대시, 샴페인 1글라스를 채운 다음 오렌지 조각 또는 레몬필로 장식한다.

타셀 저택은 벨기에의 과학자이자 교수인 에드몽 타셀(Edmond Tassel)의 의뢰를 받은 저택으로 1893년부터 1894년 사이에 건설되었다. 최초의 아르누보 양식 건축물로 간주된다. 설계는 물론 건축재료, 장식도 당시로서는 혁신적인 방법을 사용했다. 저택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벽돌과 자연석을 활용한 두 곳은 대체로 전통적인 양식을 따르고 있다. 이 두 공간을 연결하는 유리로 뒤덮인 철재 구조물로 부분이 바로 오르타의 아르누보적 독창성이 가미된 부분이다. 손님을 맞는 응접실이자 건물 연결부 및 계단, 층계참 역할을 겸하는 8각형의 홀이다. 유리 지붕으로 되어 있어 자연광이 집안으로 들어올 수 있게 했다. 건물설계뿐 아니라 문손잡이, 모자이크 바닥, 철제 계단난간, 스테인드글라스 창문 등 내부 인테리어까지 모두 오르타의 작품이다.

높이 4,478m. 프랑스어로는 몽세르뱅(Mont Cervin), 이탈리아어로는 몬테체르비노(Monte Cervino)라 한다. 몬테로사산맥의 주봉으로, 스위스 쪽의 등산기지 체르마트의 남서쪽 10km 지점에 위치한다. 피라미드형의 특이한 산용을 가진 빙식첨봉(氷蝕尖峰)으로, 평균경사 45° 안팎의 급한 암벽이 1,500m 이상의 높이로 솟아 있다. 특히 스위스 쪽의 조망이 수려하다. 4,000m가 넘는 알프스의 여러 봉우리 중에서 마지막으로 1865년에 영국의 탐험가 E.휨퍼에 의해 최초의 등정이 이루어졌으나 하산하다가 4명이 추락사하였다.

해안산맥의 서쪽 비탈면에는 레드우드(일명 미국삼나무)라고 부르는 세쿼이아 일종이 무성하다. 레드우드강(江) 연변에는 세계에서 가장 키가 큰 나무로 기록된 레드우드(112.1m)를 포함하여 키 큰 나무들이 많으며, 수령(樹齡)은 400~800년으로 알려져 있다.

봄에는 철쭉, 가을에는 단풍, 겨울에는 눈 덮인 산이 등산객들을 매료시킨다. 정상은 암벽과 암릉으로 되어 있으며 정상 일대의 철쭉군락지에 꽃이 필 때면 지리산의 세석평전을 연상케 한다. 여름에는 멋진 암봉과 암릉이 나무에 가려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이 산은 녹음이 우거지기 전에 오르는 것이 좋다.

기후는 건조하여 연강수량 234mm 내외이며, 기온은 여름에 높아, 8월 평균기온이 27.6℃이고, 겨울은 온난하여 1월 평균기온이 7.7℃인데, 특히 여름에는 일교차가 크다. 안티레바논산맥에서 발원하는 바라다강을 관개에 이용하여 선상지 일대에는 용수로가 사방으로 뻗어 밀·포도·올리브·채소 등의 재배가 활발하며, 견직물·융단·가죽세공·금은세공·장식품 등의 전통적인 수공업이 활발하다. 식료품·섬유·화학·제당·유리·시멘트 등의 근대공업도 성하다.

맑고 깊은 계곡이 흐르며 곳곳에 폭포와 늪이 있는데 유안청 제1, 제2폭포와 자운폭포가 있다. 계곡 주변으로 한국에서 단일바위로 가장 큰 문바위와 고려시대 삼존불인 가섭암지 마애삼존불상(보물 530)이 있다.휴양림에는 숲속의 집, 광장, 야영장, 캠프파이어장, 등산로, 산책로, 물놀이장, 체력단련시설, 임산물판매장 , 숲속교실 등이 있다. 주변에 수승대국민관광지, 건계정, 월성계곡, 용추사, 송계사, 덕유산, 연수사, 고견사, 육모정, 무주리조트, 구천동, 해인사 등의 관광지가 있다.

섬의 형상이 갈퀴처럼 생겼다 하여 갈퀴섬이라고 부르고, 한자로 표기하면서 갈퀴 '구(鉤)'자를 써서 '구도(鉤島)'가 되었다. 급경사를 이루는 섬으로, 해안에는 해식애가 발달해 있다. 여름에는 벵에돔과 돌돔, 가을과 겨울에는 감성돔이 많이 잡혀 낚시꾼들이 많이 찾는다. 구도에서 약 2㎞ 떨어져 있는 평도에서 낚싯배를 이용하여 섬에 들어갈 수 있다.

멥쌀(또는 찹쌀)은 깨끗이 씻어 반나절 정도 물에 불린 다음 소금과 함께 절구에 곱게 빻아 체에 내린다. 대추와 곶감은 씨를 발라내고 채를 썰어 4~5일 말려 곱게 다진다. 호두는 속껍질을 벗겨내고 곱게 다진다. 따뜻한 물에 설탕을 넣고 잘 저어 설탕물을 만든다.

경전선에 있던 기차역으로 삼랑진역과 한림정역 사이에 있었다. 1906년 12월 12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으며, 무궁화호가 운행되며 여객 업무를 담당하였다. 점점 여객 사설토토 수요가 줄어 2004년 무배치간이역(역무원이 없는 간이역)으로, 2010년 무정차간이역(열차가 정차하지 않는 간이역)으로 격하된 후, 2010년 11월 12일 역사가 철거되었다. 코레일(Korail) 부산경남본부 소속으로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삼랑리 15-1에 있었다.

조선 제8대 왕 예종(睿宗 1450~1469, 재위 1468∼1469)의 원비 장순왕후(章順王后) 한씨(1445~1461)의 무덤이다. 공릉·순릉·영릉으로 이루어진 파주삼릉(坡州三陵, 사적 제205호) 경내에 있다.

고원이나 깊은 산의 습지에서 자란다. 높이 1∼2m이다. 뿌리줄기가 굵고 털이 없다. 뿌리에 달린 잎은 길이가 9cm에 이르는 것이 있고 큰 심장 모양으로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가 길다. 뿌리에 달린 잎 사이에서 줄기가 나온다. 줄기에는 잎이 3장 달리는데, 모양은 뿌리에 달린 잎과 비슷하지만 크기가 작고 잎자루의 밑부분이 줄기를 싸고 있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